본문 바로가기
건강

혈전용해치료 중요성 꼭 알고 있어야됩니다!!

by -유공남- 2023. 8. 29.
반응형

반응형

혈전이란

먼저 혈전이란 혈관속에서 피가 굳어진 덩어리를 말합니다.

 

이 혈전으로 인해 혈관이 막히게 될 경우 여러가지 혈관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혈전 발생시 당연히 치료를 해야되는데 급한 경우에는 응급수술이나 시술(혈전제거술, 스텐트삽입술)등의 치료를 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수술과 시술여부와 관계없이 약물치료가 병행되게 됩니다.

약물치료로는 혈전용해치료나 항응고제가 일반적이고, 혈전이 발생하게 되면 대부분 응급상황이고 혈전용해제치료를 하게 됩니다.

 

혈전용해제란

 

뇌혈관, 심혈관 부분의 혈전을 녹이기 위해 정맥혈관 또는 동맥혈관에 주사하는 약물을 말합니다.

 

※ 항응고제(해파린 등) 및 경구용약제는 제외되고 기계적 혈전제거술(카테트 등)은 "혈전용해치료"에서 제외됩니다.

 

 

▶ 주요 사용 사례

 

1. 심근경색 : 심장 혈관의 혈액 공급이 중단되면 심근경색(심장 공급부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때 혈전용해치료를 통해 심장 혈관의 혈전을 용해시켜 심근의 손상을 최소화하려고 합니다.

 

2. 뇌졸증 : 뇌 혈관에서 발생한 혈전은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혈전용해치료는 뇌 혈관의 혈전을 용해시켜 뇌졸중의 심각한 영향을 줄이는데 사용됩니다.

3. 폐색전증 : 폐동맥 내 혈전이 폐를 통과하지 못하게 하여 폐쇄된 상태를 폐색전증이라고 합니다. 혈전용해치료를 통해 폐동맥 내 혈전을 용해시켜 폐쇄 상태를 해소하려고 합니다.

 

4. 심방 혹은 심실 혈전 : 심방새동 또는 심실세동과 같은 심장 리듬 장애(부정맥)로 혈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혈전은 혈관을 통해 다른 장기로 이동하여 심장 및 다른 장기의 기능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혈전용해치료는 이러한 혈전을 용해시켜 치료합니다.

 

혈전의 위험 인자

1) 연령

2) 흡연

3) 비만

4) 임신

5) 암 또는 자가면역 질환과 같은 특정 의학적 상태

6) 피임약 또는 호르몬 대체 요법과 같은 특정 약물

7) 장시간 앉아 있거나 침대에서 쉬는 시간이 많은 자

8) 최근 수술한 자 또는 외상자

 

혈전 용해제의 부작용

1) 경우에 따라 심각하거나 생명을 위협할 수 있음

2) 알레르기 반응

3) 발열

4) 저혈압

5) 두통

6) 메스꺼움 및 구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