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드넬라 질염이란
가드넬라 질염은 가드넬라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질염입니다. 이 세균은 정상적으로 여성의 질 내에서도 찾을 수 있는데요, 문제는 이 세균의 수치가 너무 많아져서 다른 유익한 미생물의 균형을 깨뜨릴 때 발생합니다.
질 내에서는 여러 종류의 미생물들이 서로 균형을 이루며 살아가고 있는데, 이 중에서는 '유산균'이라고 불리는 락토바실러스가 대표적입니다. 락토바실러스는 질 내의 pH를 산성으로 유지하여 다른 유해한 세균들의 성장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락토바실러스의 수가 줄어들면 가드넬라 세균이 늘어나면서 '박테리얼 바지노시스'라고 불리는 가드넬라 질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가드넬라 질염 원인
1. 성관계 : 성적 접촉을 통해 가드넬라 세균이 전파될 수 있습니다. 여러 성 파트너가 있는 경우에는 이 위험이 더욱 증가합니다. 그러나, 가드넬라 질염은 성병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해주세요.
2. 생리대 사용 : 생리대를 너무 오래 사용하거나, 탐폰을 오래 두는 경우에도 가드넬라 질염의 위험이 있습니다.
3. 세정제 사용 : 질 세정제나 향수, 생리대 등의 사용은 질 내의 pH 균형을 깨뜨릴 수 있어 가드넬라 질염의 위험이 있습니다.
4. 항생제 사용 : 일부 항생제는 유익한 미생물인 락토바실러스까지 없애버려 가드넬라 질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가드넬라 질염 증상
가드넬라 질염의 증상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모든 환자에게 동일하게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일부 여성은 아무런 증상도 느끼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경우 가드넬라 질염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1. 질 분비물의 변화 : 가장 흔한 증상 중 하나는 질 분비물의 변화입니다. 가드넬라 질염이 있는 경우, 질 분비물이 보통 백색 또는 회색이며, 물 같은 또는 거품 같은 질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또한 분비물의 양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2. 냄새 : 질 분비물에서 물고기 같은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이 냄새는 특히 성관계 후나 생리 후에 더욱 강해질 수 있습니다.
3. 가려움과 통증 : 질이나 외음부에서 가려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성관계나 배뇨 시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가드넬라 질염 외에도 다른 질환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증상이 있을 경우 반드시 의사에게 상담해야 합니다.
4. 붓기나 쓰라림 : 질 주변이 붓거나 쓰라릴 수 있습니다.
가드넬라 질염 치료와 치료 시 주의사항
가드넬라 질염의 치료는 주로 항생제를 이용합니다. 의사가 처방하는 항생제를 복용하면 가드넬라 세균을 제거하고, 질 내의 미생물 균형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항생제는 메트로니다졸과 클린다마이신입니다. 이들은 경구용 약물이거나, 질용 크림 또는 기타 형태로 제공될 수 있습니다.
치료 중에는 다음 사항들을 주의해야 합니다.
1. 알코올 섭취 : 메트로니다졸을 복용하는 동안에는 알코올을 섭취하면 안 됩니다. 알코올과 메트로니다졸이 함께 섭취되면 심한 구토, 두통, 발열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2. 약물 복용 완료 : 증상이 개선되더라도 의사가 처방한 기간 동안 약물을 계속 복용해야 합니다. 이는 재발을 예방하고, 완전한 치료를 위해 중요합니다.
3. 성관계 중단 : 치료 기간 동안에는 성관계를 중단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관계를 하는 경우, 감염이 파트너에게 전파될 위험이 있으며, 치료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드넬라 질염은 재발이 잦은 질환인 만큼, 치료 후에도 정기적인 검사와 건강 관리가 중요합니다. 또한, 성생활 시 안전을 위해 콘돔 사용 등의 성병 예방 수칙을 지키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궁근종 수술, 수술 후 부작용 알아보기 (1) | 2024.01.23 |
---|---|
호랑이콩 효능 5가지와 특징 / 섭취 시 주의사항 알아보기! (1) | 2024.01.22 |
흔한 질염 중 하나인 '칸디다질염' 원인과 증상 / 치료방법 알아보기 (0) | 2024.01.18 |
감염 급증 / 엠폭스(원숭이두창) 원인과 증상 치료방법 알아보기 (0) | 2024.01.17 |
안검내반(속눈썹 찔림) 원인과 증상 / 치료방법 알아보기! (0) | 2024.01.15 |